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송 산불로 60대 여성 사망
2025년 3월,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강풍을 타고 청송까지 확산되며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대피 중이던 60대 여성이 사망한 사건과 현재 상황을 정리합니다.
청송 산불로 60대 여성 사망…의성에서 시작된 산불, 안동·청송까지 확산
2025년 3월 25일, 경북 청송군 청송읍에서 산불 대피 중이던 60대 여성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의성에서 시작된 대형 산불이 안동을 지나 청송까지 빠르게 번지면서 인명 피해가 현실화된 안타까운 사건입니다.
📍 1. 사건 개요
- 발생일시: 2025년 3월 25일 오후
- 사망자: 청송읍에서 대피 중이던 60대 여성 A씨
- 발견장소: 차량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불에 타 숨진 채 발견
- 경찰 추정: 산불을 피하다 연기에 질식 혹은 화염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
- 조사 상황: 정확한 사망 원인 조사 중
📎 연합뉴스 보도
🔥 2. 산불 피해 현황 (3월 말 기준)
- 산불 발화: 의성군 다인면에서 시작
- 확산 지역: 안동, 청송, 예천, 봉화 등
- 산림 소실: 약 14,501헥타르
- 전국 사망자: 24명
- 부상자: 26명
- 대피 인원: 수천 명 규모
- 도로 통제: 주요 도로 및 국도 일부 구간 통제 중
🧯 3. 정부 및 지자체 대응
- 산불 위기경보 '심각' 단계 발령
- 투입 인력: 6,000여 명
- 헬기 지원: 80여 대 (산림청, 소방청, 군 헬기 포함)
- 대피소 운영: 청송읍사무소, 인근 체육관 등
- 진화 중 헬기 추락 사고 발생, 구조대 인명 피해 우려
📢 4. 대피 시 주의사항
- 긴급 재난 문자 확인 후 지체 없이 대피
- 차량 내 대기 금지, 도보 대피 시 산 아래 방향으로 이동
- 연기 흡입 방지를 위한 KF94 마스크 착용
- 반려동물과 동반 대피 가능 여부 사전 확인
🧭 5. 마무리
이번 청송 산불 사망 사건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정보 전달 부족과 대피 인식 미흡으로 인한 인재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산불 대비 조기 경보 시스템과 더불어, 지역 주민들의 대피 교육과 인프라 정비가 절실합니다.
하루빨리 모든 피해가 수습되고,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 참고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