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비SI 단위 뜻은?

흰돌123 2025. 3. 21. 12:51

목차



    반응형

    비SI 단위 뜻은?

     

    • 킬로그램이나 미터처럼 SI 단위는 익숙하지만, 비SI 단위는 뭘 의미할까요? 파운드, 인치 같은 단위를 왜 ‘비SI 단위’라고 부르는지 헷갈릴 수 있어요. SI와 비SI 단위의 차이를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비SI 단위
    비SI 단위

    1. SI 단위와 비SI 단위, 정확히 뭐가 다른가요?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단위들—킬로그램, 미터, 초, 암페어 같은 것들—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사용하는 표준 단위계, 즉 **SI 단위(국제단위계)**에 속합니다.

     

    💡 **SI 단위(Système International d'Unités)**란?
    전 세계에서 과학, 공학, 교육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단위 체계입니다.
    국제단위계는 7개의 기본 단위를 기반으로 수많은 파생 단위를 만들어냅니다.

     

    물리량SI 기본단위
    길이 미터 (m)
    질량 킬로그램 (kg)
    시간 초 (s)
    전류 암페어 (A)
    온도 켈빈 (K)
    물질량 몰 (mol)
    광도 칸델라 (cd)

    그렇다면 비SI 단위는 무엇일까요?

    비SI 단위는 공식적인 SI 단위는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사용되거나 특정 분야에서 인정받는 단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공식은 아니지만 아직도 많이 쓰이는 단위들”**입니다.

     


    2. 파운드, 인치는 왜 아직도 쓰이나요?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파운드(lb), 인치(in) 같은 단위는 대표적인 비SI 단위입니다.
    특히 미국,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아직도 이 단위들을 일상생활이나 산업에서 활발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미국에서는 사람 몸무게를 파운드(lb)로 표현
    • TV 크기는 **인치(inch)**로 표현
    • 자동차 타이어, 노트북 화면, 공구 크기 등에서도 인치 단위를 흔히 사용

    이처럼 비SI 단위는 전통적인 사용 문화, 기술 표준, 상업적 관행에 따라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공식적인 과학적 계산, 국제 협약, 연구 분야에서는 반드시 SI 단위를 우선으로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3. 비SI 단위의 예와 특징

     

    비SI 단위는 다음처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 ① 전통 단위 (영미식)

    • 길이: 인치(in), 피트(ft), 야드(yd), 마일(mi)
    • 무게: 파운드(lb), 온스(oz), 스톤(st)
    • 액체: 갤런(gal), 파인트(pt)

    📌 ② 관용 단위 (과거 사용 단위)

    • 압력: 기압(atm), 토르(Torr), mmHg
    • 에너지: 칼로리(cal), BTU
    • 온도: 섭씨(°C), 화씨(°F) — 참고로 섭씨도 SI 기본단위는 아닙니다!

    📌 ③ SI와 함께 병용 허용된 단위
    국제적으로 SI 단위와 함께 쓰는 것을 임시로 허용한 단위들도 있습니다. 예:

    • 시간: 분(min), 시간(h), 일(day)
    • 각도: 도(°), 라디안(rad)
    • 부피: 리터(L)

    이 단위들은 비SI 단위지만, 실용성과 보편성 때문에 SI 체계 안에서 사용이 허용되어 있습니다.

     


    4. 왜 SI 단위를 표준으로 정했나요?

    •  
    • 단위 체계가 나라마다 다르면 소통과 계산이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1갤런 = 3.78리터인데, 영국에서는 1갤런 = 4.54리터로 다릅니다.
      이런 차이는 과학, 무역, 의학, 산업 전반에 큰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국가가 동일하게 쓸 수 있는 단위 체계가 필요해졌고,
      그 결과 탄생한 것이 바로 SI 단위입니다.
    • 1971년 이후 대부분의 국가가 SI 단위를 채택했고, 한국도 1964년부터 SI 단위를 공식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5. 결론: 비SI 단위는 아직 존재하지만, SI 단위가 표준입니다

     

    정리하자면,

    1. SI 단위는 국제적으로 공식 표준으로 정해진 단위 체계이며,
      미터(m), 킬로그램(kg), 초(s)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2. 비SI 단위는 공식 표준은 아니지만,
      인치, 파운드처럼 일상이나 특정 산업에서 여전히 많이 쓰이는 단위입니다.
    3. 일부 비SI 단위는 SI 단위와 함께 병용이 허용되기도 하며,
      필요시 단위 변환을 통해 공식 계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비SI 단위도 알면 생활에 도움이 되지만,
    학문적이거나 국제적인 문서에서는 SI 단위를 기준으로 이해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출처:

    • 국가기술표준원 단위법 안내서
    • 국제도량형총회(CGPM) 발표문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자료
    반응형

    비SI 단위 뜻은?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