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갑상선 저하증vs항진증 증상 정리

     

    •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항진증은 흔하지만 혼동하기 쉬운 질환입니다. 두 질환의 차이점, 대표 증상, 진단 방법과 치료, 일상생활에서 관리하는 팁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갑상선 저하증vs항진증 증상
    갑상선 저하증vs항진증 증상

    1. 갑상선이 뭐길래 이렇게 중요할까요?

     

    • 갑상선은 목 앞쪽에 위치한 작은 나비 모양의 내분비 기관입니다.
      몸의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내는 곳인데요, 이 호르몬이 너무 적게 나오면 ‘기능저하증’, 많이 나오면 ‘기능항진증’이라고 합니다.
    • 이 호르몬은 몸의 에너지 소비, 체온, 심박수, 소화, 심지어 기분까지 영향을 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균형이 무너지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2. 갑상선 기능 저하증 vs 항진증, 어떻게 다를까요?

     

    항목갑상선 기능저하증갑상선 기능항진증

     

    호르몬 분비량 너무 적음 너무 많음
    대사 속도 느려짐 빨라짐
    대표 증상 피로, 추위 민감, 체중 증가, 변비 더위 민감, 체중 감소, 심계항진, 설사
    피부/모발 건조, 탈모 얇아짐, 다한증
    기타 증상 우울감, 기억력 저하 불안감, 손 떨림

    3. 각각의 주요 증상 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갑상선 기능저하증 증상

     

    • 쉽게 피로함, 항상 몸이 무겁고 의욕이 없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추위를 유난히 잘 탐
    • 체중 증가: 식사량은 그대로인데 살이 찌는 느낌
    • 변비, 피부 건조, 탈모
    • 생리 불순 또는 생리량 증가
    • 기억력 저하, 우울감도 흔한 증상입니다.

    2) 갑상선 기능항진증 증상

     

    • 더위에 민감, 항상 더운 느낌
    • 체중 감소: 많이 먹는데도 살이 빠짐
    • 심장이 두근두근, 불안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림
    • 손 떨림, 불면증
    • 설사나 배변 횟수 증가
    • 과민함, 초조함 같은 감정 변화가 뚜렷할 수 있습니다.

    4. 진단은 어떻게 할까요?

     

    갑상선 질환은 혈액 검사를 통해 비교적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 TSH (갑상선 자극 호르몬)
      : 수치가 높으면 저하증, 낮으면 항진증을 의심
    • Free T4 / T3 (실제 갑상선 호르몬 수치)
      : 이 수치를 보고 어느 정도 기능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필요에 따라 초음파 검사나 갑상선 스캔을 함께 시행할 수 있습니다.

     


    5.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1) 갑상선 기능저하증

     

    • 갑상선 호르몬제 복용 (레보티록신 등)
      : 매일 일정량의 호르몬을 보충하는 방식입니다.
    • 정기적인 피검사를 통해 복용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2) 갑상선 기능항진증

     

    • 항갑상선제 복용 (메티마졸 등)
      : 과도한 호르몬 생성을 억제
    • 심한 경우 방사성 요오드 치료수술도 고려됩니다.
    • 항진증의 경우, 심장 증상(두근거림 등)을 조절하는 약도 함께 처방될 수 있습니다.

    6. 생활 속 관리법도 중요합니다

     

    • 식사 조절: 요오드 섭취에 주의 (해조류는 항진증 환자에게는 과다 섭취 금지)
    • 충분한 수면과 휴식
    • 스트레스 관리: 특히 항진증은 감정 기복에 민감하므로 평정 유지가 중요
    • 운동은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규칙적으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약 복용은 절대 임의로 끊지 마시고, 정기적인 피검사로 조절하셔야 합니다.

    7. 결론: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진료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1.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항진증은 정반대의 호르몬 문제이지만, 비슷한 듯 다른 증상들이 섞여 있어 혼동하기 쉽습니다.
    2.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혈액검사로 진단이 가능하고, 비교적 치료도 명확하게 가능합니다.
    3. 가장 중요한 건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 그리고 의사의 지시를 따르는 복약입니다.

    📌 참고 출처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 대한내분비학회
    • 질병관리청 갑상선질환 가이드
    • 실제 갑상선 치료 환자 후기 사례
    반응형

    갑상선 저하증vs항진증 증상 정리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